MY MENU

동ㆍ서양의 체질론

체질(體質)이란?

형체에 기능을 결부시킨 것으로, 유전적 체질의 형성 요소와 생활 환경적 요소가 합치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체질 개념에 대해서는 학문적 분야에 따라 학자들 간에 다소 견해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되고 있는 의학의 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먼저 서양의학에서는 히포크라테스가 '4체액설(4體液說)'이라는 인체의 구성요소를 언급하면서 체질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그 후 갈레누스의 '4기질설(4氣質說)'로 기질 유형에 따라 언급하였고, 크레츠머는 정신ㆍ신체 의학적 관점에서 인간을 '3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융은 심리학적 유형론을 연구하였습니다. 최근에는 면역학적인 분야에서 알레르기의 유형에 따라 Ⅰ형 ~Ⅴ형으로 구분하여 임상에 적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한편 동양의학에서는『황제내경』의 '오태인체상(五態人體象)'으로부터 시작하여 역대로 내려오면서 많은 언급이 있는데 금원대의 주진형은 "수인(瘦人)은 화(火)가 많고 비인(肥人)은 습(濕)이 많으며 흑색인 사람은 기(氣)가 실하고 백색인 사람은 기가 허(虛)하다"고 하였으며 명대의 장개빈은 양장인ㆍ음장인ㆍ평장인 등으로 나누어 체질을 논하였습니다. 또 『의종금감』에서는 "뚱뚱한 사람, 여윈 사람, 기가 왕성한 사람과 쇠약한 사람, 장(腸)이 찬 사람과 더운 사람이 있다"하고, "병사를 받는 것도 모두 달라 장이 차가워지거나 더워지며 또 허해지거나 실해지기도 한다"고 하였습니다. 청대의 섭천사는 『임증지남의안』에서 목화질ㆍ습열질ㆍ간울질ㆍ음허질ㆍ양허질ㆍ비약질 등 여섯 가지로 나누었고, 진념조는 "사람의 형체는 후박(厚薄)이 있고 기는 성쇠(盛衰)가 있으며 장은 한열(寒熱)이 있어 체질에 따라 한화ㆍ열화 된다"고 하였으며, 장남은 "육기의 병사(病邪)가 음양(陰陽)에 따라 같지 않다"고 하고서 "사람을 손상시킬 때도 음양 강약(强弱)의 변화에 따라 질병이 초래 된다"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체질은 학자들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되어 왔고, 조선 말기에 이제마가 사상체질론을 정립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제마는『동의수세보원』에서 외모와 심성, 체질증과 체질병증의 특징에 따라 태양인ㆍ태음인ㆍ소양인ㆍ소음인으로 분류하고, 사상인(四象人)에 따른 생리(生理), 병리(病理), 치료(治療) 및 양생(養生) 등을 제시 하였습니다. 이제마의 사상체질 이론은 그 이론적 근거와 임상적 활용에 있어서 다른 체질론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적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한의학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습니다. 요즈음도 한의원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체질을 구별하고 있고 또한 환자분들이 제일 궁금해 하는 것이 자신의 체질일 것입니다.